PMB 부트캠프 12기/데일리과제

PMB12 W1D4 키즈노트 시장조사와 제품전략

clap.jin 2022. 5. 12. 23:44

과제

(필수) 전날 과제 (Day 3)에서 작성한 제품을 담당하는 신입 PM으로서 시장 분석을 통한 제품 전략 수립을 위한 리서치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다음 절차에 맞게 자료를 조사해 정리해 봅니다.

  • 해당 제품의 직접적인 시장의 규모를 조사해 봅니다.
  • 시장에서 경쟁 중인 제품과 대안재를 찾아 봅니다.
  • 경쟁 제품 및 대안재 대비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제품 전략 아이디어를 3가지 이상 수립해 봅니다.
  • 전략 아이디어 중 제품에 반드시 도입해야 할 아이디어가 무엇인지 선택하고 그 이유를 정리해봅니다.

 

 

프로덕트: 키즈노트

영유아 알림장 모바일 플랫폼

 

 

시장의 규모를 조사

 

 # 시장규모 전제

 

키즈노트의 주요 시장은 교육기관과 영유아 학부모이며 교육기관은 어린이집, 유치원이다.

학부모의 수는 각 교육기관의 재원중인 아동의 수와 같으므로 시장규모 파악은 교육기관과 아동수로 조사하였다.

(키즈노트는 재원중인 영유아 아동 1명당 부모1명만 가능하다. 엄마 아빠는 1개의 계정을 공유하여 사용한다.)

 

 

# 시장규모 자료

 

어린이집,유치원 등록된 재원 아동수: 1,200,000만 + α

어린이집,유치원 등록 수: 40,000 + α

 

1.  전국 어린이집 현황 및 재원 아동수 - 21년 보건복지부 자료 기준 참고

 

  • 전국 우리나라 어린이집 현황 33,146개

  • 전국 어린이집 등원 보육 아동수 1,182,411명 - 21년 보건복지부 자료 기준 참고

2. 전국 유치원 현황 및 재원아동 수 - 20년 교육부 자료 기준 참고

  • 전국 우리나라 유치원 현황 8,705개
  • 전국 어린이집 등원 보육 아동수 612,538명

 

# 키즈노트 시장 점유율

 

총 가입자 170만명이상

전국 어린이집/유치원 가입 비율 83%

앱 누적다운로드수 238만건 이상

 

교육업계의 시장은 워낙 보수적으로 알려져있다.

키즈노트는 최고의 제품으로 서비스에 집중한 결과 전국 교육기간의 약 80%가 키즈노트를 쓰고 있으며

매년 앱 누적 다운로드 수가 증가하고 있다.

 

 

 

시장에서 경쟁 중인 제품과 대안재를 찾아 봅니다.

 

- 어린이집 유치원 네이버 밴드, 카카오톡, 아이엠클래스(학원전문서비스)

 

 

# 기존 경쟁 제품과 대안재와의 차별화된 전략

 

개인의 윤리적 문제와 시공간에 대한 문화

경쟁제품이자 대안제인 카카오톡은 교사의 사생활 침해 문제가 계속 야기되고 있다. 키즈노트의 예약발송이라는 시스템은 교사가 미리 정해진 시간을 설정할 수 도 있을 뿐만 아니라 학부모들은 중요한 알림 사항들을 미리 써놓고 정해진 시간에 미리 발송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이 있다. 또한 카카오톡은 교사의 사적인 공간 역할도 하지만, 키즈노트 공적인공간이라는 구분으로 교사의 사생활 침해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

 

 

경쟁 제품 및 대안재 대비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제품 전략 아이디어를 3가지 이상 수립해보기
전략 아이디어 중 제품에 반드시 도입해야 할 아이디어가 무엇인지 선택하고 그 이유를 정리

 

1. 공유서비스 구축

  사용자의 1:1 구조의 단점을 보완한 학부모들간 공유서비스 기능 구축한다

 

 네이버 카페나, 밴드 같은 경우 교사와 학부모는 물론, 학부모들끼리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져있다. 키즈노트의 경우 교사와 아이 학부모라는 개인적인 공간이기때문에 학부모들끼리 공유가 어렵다. 키즈노트 속에서 친구를 추가하는 등 공유서비스가 확장된다면 타 시장의 고객층이 유입 될 것 같다

 

2.  교육기관 보육료 결제 시스템 구축

    경쟁사인 아이엠클래스와 같은 결제 시스템 서비스 구축하여 ALL-IN-ONE 영유아 모바일 플랫폼으로 성장

 

 현재 키즈노트에서는 어린이집 보육료 결제 시스템은 구축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직접 방문하여 결제를 하거나, 아이사랑이라는 앱을 통해서만 결제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보완해서 키즈노트에서도 결제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ALL-IN-ONE 영유아 모바일 플랫폼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3. 알림장 확인모드 개발하여 효율적인 소통 창구 마련

 

 앱을 만들어도 카톡으로 소통하는게 더 편리하다면, 이용률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카톡 같은경우 메세지를 수신하였을때 읽음/안읽음 표시가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는 큰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키즈노트는 알림장을 적었을때 교사가 확인했는지 알 수 가 없다. 효율적인 소통 창구가 마련되야 키즈노트의 점유율이 보다 더 증가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4. 유료 서비스의 전환 광고의 의존도를 낮추고 수익모델 창출

 

 키즈노트는 20-40대 여성이 주 타켓이며 교육업계의 시장 특성상 보수적이며 충성도가 굉장히 높다. 광고 의존도가 많이 높은 현실이다. 광고 의존도만이 아닌 보다 높은 질적 서비스 수준으로 개발하여 현재 있는 충성고객을 타켓으로한 유료서비스 전환하면 좋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