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이란 무엇인가?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프로덕트: 고객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프로덕트 전략: 문제해결(=프로덕트)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어떤 목표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방법
[전략에 대한 고찰]
'성공할 수 있는 기회에 강점을 적용하는 것'
→ '상대적 약점(경쟁사, 시장)에 상대적 강점을 집중하는 것'
전략에 대해 접근할 때는 지렛대를 통해 바라볼 수 있음 지렛대 상에서 문제 해결은 단순히 물건을 들어올리는 것이라고 한다면, 전략적 문제 해결은 받침점을 가장 적절한 곳에 위치시켜서 가장 적은 노력으로 가장 큰 힘을 받아 물건을 들어올리는 것. 즉,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받침점, 우리가 힘을 줘야 하는 부분을 알고 그곳에 집중시켜야 한다는 것
[좋은 전략이란]
- 조직이 직면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진단한다.
-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접근방법이 담긴 추진 방침을 만든다.
- 타당한 방법론과 자원할당을 결정하는 일관된 행동을 추진한다.
- 조직이 직면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진단한다. 구체적으로 진단한다. 문제정의 잘 해야한다
목표: 반대편으로 건너가기
A : 다리 같은 걸 만들어야겠다 -> 어떻게 다리 같은 걸 만들 수 있을까? (X, 잘못된 문제정의)
B : 강 건너로 넘어가야 해 -> 강 건너편으로 어떻게 갈 수 있을까? (O, 올바른 문제정의)
ex) 토스증권 vs 키움증권의 문제정의는 무엇이였을까? -> 문제 정의에 따라 프로젝트 결과물이 다르다
토스 증권: 문제점 : 증권 주식이 어렵다
기존 증권 앱 : 문제점: 주식을 거래할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
2.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접근방법을 담은 추진 방침을 만든다.
추진 방침 -비전과 목표, 메뉴얼 가이드, 목표, 핵심지표가 역할 할수 있다. (ex 고속도로나 볼링장의 가드레일 같은 것) 전략을 통해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향해 가는 여러가지 행동들을 특정한 범위 안에서 하도록 유도하는 것
3. 타당한 방법론과 자원할당을 결정하는 일관된 행동을 추진한다.
전략은 단순한 방향 설정이 아니고, 방향 설정과 행동이 반드시 수반돼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