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B 부트캠프 12기/데일리과제

W8D4 애자일 관리도구 JIRA

clap.jin 2022. 7. 4. 14:30

 


 

애자일 12가지 원칙

1.초기부터 지속적으로 고객 만족

2. 요구사항 변경 수용

3. 짧은 배포 간격

4. 함께 일하기

5. 동기부여된 팀원들로 프로젝트팀 만들기

6. 얼굴보고 대화하기

7. 동작되는 소프트웨어로 진도 측정

8. 지속 가능한 개발 속도 유지

9. 좋은 기술, 설계에 관심

10. 단순성

11. 자기 조직화 팀

12. 정기적으로 효율성 제고

 


Jira는 짧은주기의 개발단위를 반복하여 프로젝트 완성시켜나가는
애자일 방식의 프로젝트 관리 협업 툴


 

지라 기본 용어

 

티켓

티켓이란 하나의 이슈(해야 될 일, 분담된 일)라고 생각하면 된다.

지라의 칸반 보드 내 카드(업무)를 '티켓'이라 하고, 카드 생성(즉 신규 업무 생성 및 배정)을 '티켓 발행'이라 칭함.

 

이슈 (Issue)

Jira 프로젝트는 이슈들의 집합이다.

 

이슈유형

템플릿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데, 스크럼 기준으로 아래와 같다.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유형 추가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트에 알맞게 설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Jira 의 기능에 반영된 애자일 원칙

 

1. 함께 일하기

비즈니스 담당자와 개발자는 프로젝트 전체 기간 동안 매일 함께 일해야 한다.

비즈니스 가치가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담당다자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함께 개발해야한다.

Jira는 원하는 사용자를 나의 프로젝트에 추가할 수 있다. 함께 업무를 공유하고, 해야 할 업무가 무엇인지, 완료된 업무는 무엇인지 확인이 가능하다. 이슈(업무) 생성 및 세부 내용에 대한 작성, 담당자 지정과 관련 하위 업무 생성, 지정, 연결이 가능하며 공유 기능을 통해 바로바로 진행상황을 알 수 있다. 또한 댓글 기능으로 소통 역시 가능하다

 

 

2. 짧은 배포 간격

자동화로 작업을 간스크럼 탬플릿에서 스프린트 주기 설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문제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빠르게 해결-배포 할 수 있다.

Jira는 큰 프로젝트동안 여러 개의 짧은 스프린트를 진행하며, 상단에 스프린트 완료까지 몇일이 남았는지 알려준다.

 

 

3. 동작되는 소프트웨어로 진도 측정 

 Jira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팀은 서로의 개발 진척도를 확인할 수 있고 배포 전에 라이브 프로덕션 코드 상태 정보가 Jira 문제에 표시되기 때문에 팀은 새로운 기능에 대한 자체 QA를 진행하고 점검할 수 있다.

 


참고 

https://brunch.co.kr/@webbible/63

https://blog.naver.com/holika1331/222723295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