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MB 부트캠프 12기/데일리과제 (29)
PM LOGIN

애자일 12가지 원칙 1.초기부터 지속적으로 고객 만족 2. 요구사항 변경 수용 3. 짧은 배포 간격 4. 함께 일하기 5. 동기부여된 팀원들로 프로젝트팀 만들기 6. 얼굴보고 대화하기 7. 동작되는 소프트웨어로 진도 측정 8. 지속 가능한 개발 속도 유지 9. 좋은 기술, 설계에 관심 10. 단순성 11. 자기 조직화 팀 12. 정기적으로 효율성 제고 Jira는 짧은주기의 개발단위를 반복하여 프로젝트 완성시켜나가는 애자일 방식의 프로젝트 관리 협업 툴 지라 기본 용어 티켓 티켓이란 하나의 이슈(해야 될 일, 분담된 일)라고 생각하면 된다. 지라의 칸반 보드 내 카드(업무)를 '티켓'이라 하고, 카드 생성(즉 신규 업무 생성 및 배정)을 '티켓 발행'이라 칭함. 이슈 (Issue) Jira 프로젝트는 이..

Q1. 필수 읽기자료에 있는 '스크럼 가이드' 내 '프로덕트 오너' 파트를 읽고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스크럼을 관리하는 과정에 필요한 업무 요소를 요약 정리해 봅니다. 스크럼 이론 스크럼은 경험주의와 린 씽킹을 기초로 한다. 경험주의는 경험과 관찰한 것을 기반으로 한 의사 결정으로부터 지식을 얻는 것이다. 린 씽킹은 낭비를 줄이고 본질에 초첨을 맞추는 것이다. 스크럼은 예측 최적화와 리스크 통제를 위해 반복적이로 점진적인 방식을 쓴다. 전체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술과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사람들에게 스크럼에 참여시키고, 필요에 따라 그러한 기술을 공유하고 습득한다. 스크럼팀 스크럼 팀은 한명의 스크럼 마스터, 한 명의 프로덕트 오너, 그리고 개발자로 구성되고 하부팀이나 수직구조가 없다...

멀티 프로필 서비스란? 멀티프로필은 내 친구목록에 있는 친구들에게 각기 다른 프로필을 보여줄 수 있는 기능으로, 친구가 내 멀티프로필을 보도록 설정하면, 그 친구는 해당 멀티프로필로 지정되어 보이게 된다. 카카오톡 멀티 프로필을 릴리즈 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고객 센터 CS팀으로부터 몇가지 공통된 VOC 몇가지 받게 되었다. 그중에서 가장 개발팀이 쉽게 변경할 수 있고, 단기간에 서비스 개선할 수 있는 카카오톡 멀티 프로필 기본 설정 문의를 다음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려고 한다. " 처음 친구등록을 할 때 기본 프로필 말고, 멀티 프로필로 보여주고 싶어요." 문제정의 유저 나혜리씨는 유치원 선생님 n차이다. 나혜리씨는 집안에서는 막내이고, 애교를 담당하고 있고, 친구들 사이에서는 깨발랄 소리를 들을 만..

프로덕트: 똑닥 (헬스케어 O2O 서비스) 프로덕트 소개 똑닥은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로 지금 내 주변에서 가까운 병원을 검색하여, 병원 예약과 접수를 할 수 있다. 또한 병원에서 대기하지 않고, 실시간 대기현황을 모바일에서 바로바로 확인 할 수 있어, 순번에 맞춰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 결제와 보험청구까지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 유저가 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Flow Chart [ AS-is] W6D1 유저 Flow Chart [TO-be] W7D4 유저 Flow Chart 기존 유저Flow Chart에서 앱 다운로드 부분부터 상세하게 나눠서 작성하였다.신규 유저는 앱 다운로드한뒤 앱을 실행할때 가장 먼저 이용 권한 설정이 나오고, 그 이후 회원가입 로직을 거치게 된다.회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종류 및 구분 네이티브 앱 네이티브 앱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각 플랫폼에 맞는 언어로 개발한 앱을 말한다. 네이티브 앱은 각 플랫폼마다 SDK가 달라 각 플랫폼에 맞게 별도로 작업을 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안드로이드 앱, 아이폰 앱 스토어에 별도로 존재한다. 장점 성능이 하이브리드 앱, 웹, 앱에 비하여 가장 높다. 스마트폰의 기능( 카메라, 녹음 GP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어플 간 확장성이 높아 기본 앱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기존 언어에 익숙한 개발자들은 쉽게 작업이 가능하다.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며, 보안 수준이 높다. 단점 개발기간 및 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든다 특정 플랫폼에 너무 한정적이며, 언어에 제약적이다. 업데이트를 할 때마다 통해야하며, 배포..

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애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 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 API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정보를 어떻게 주고받을지에 대해 미리 정의한 규칙으로 통신할 때 기반이 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은행 창구의 직원은 고객의 돈을 은행에 넣고 빼는 과정을 돕기 위해 고객과 은행의 경계에서 해당 업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유사하다 Open API : '누구나 쓸 수 있는 공개된 API'를 뜻한다 잘 설계한 API를 오픈해 제공하는 이유는 자사의 서비스 기능을 다양한 서비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서비스의 저변을 넓히는 목적이 있다. 메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기업들의 시장 확대를 ..

HTML(Hyper-Text-Markup-Language) 어떠한 내용이 어떠한 요소들로 구성되는지 그 각각의 요소들의 이름을 붙인 문서를 표현하는 뼈대 역할 HTML의 역할: 구조 만들기 콘텐츠의 레이아웃을 제어합니다. 웹 페이지 디자인을 위한 구조 제공 모든 웹 페이지의 기본 빌딩 블록 CSS(Cascading Style Sheets) HTML이 어떠한 모습으로 표현될지 각 요소들의 표시방식을 정의 CSS의 역할: 웹사이트 스타일 지정 웹 페이지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웹 페이지를 반응형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화면 크기를 대상으로 합니다. 주로 웹 페이지의 "모양과 느낌"을 처리합니다. JavaScript 정적인 HTML & CSS 형태의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부여 JavaScript의 ..

프로덕트: 스타벅스 Kaggle 데이터 분석 자료: 스타벅스 고객 설문조사 (2020년) PM은 데이터를 기반해서 분석하고 기획해야 한다. 데이터 활용 능력이 중요한데, 핵심은 얼마나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데이터 활용은 기존 데이터 분석(기술적으로 데이터 수집, 정제하는 데이터 가공 단계부터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과정의 필요한 능력)과 시각적 스토리텔링(데이터 분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스토리텔링하는 능력) 두가지로 나누어서 구분되었는데 최근 두가지를 합한 개념이 등장했다. 데이터 시각화이다. 데이터 시각화는 기술적으로 데이터를 다루는 전문 역량이 없어도, 시각적 스토리텔링을 위한 디자인 역량이 없어도 데이터를 활용한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