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5D2
- W6D3
- W5D1
- PMB
- w3d3
- W8D4
- W6D2
- 카카오멀티프로필
- PMB12
- 스타벅스데이터
- PM부트캠프
- W5D3
- W8D1
- 코드스테이츠
- PM
- 마지막회고
- 쿠팡라이브
- W7D4
- W13D5
- W4D2
- W6D1
- W8D3
- W7D1
- W3D2
- W4D3
- 똑닥
- W4D1
- css
- 랜딩페이지분석
- HTML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9)
PM LOGIN

호텔스닷컴 예전 여행사에서 일할때 여러 호텔 중개 서비스 중에 가장 많이 사용했던 서비스이다. 호텔스닷컴외에 트리바고, 호텔스컴바인 등 여러 다른 서비스들이 훨씬 UX,UI 부분이 뛰어나서 사용하기 편하지만 호텔스닷컴에서 제공하는 단 한가지 장점 때문에 불편함을 감소하더라도 지금까지 쓰고 있는 프로덕트이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왜 UI를 개선하지 않는지는 모르겠지만 오늘은 호텔스닷컴의 웹 랜딩페이지를 하나하나 분석하면서 개선 할 점을 나열해보고자 한다. W5D3 1. 호텔스닷컴 랜딩페이지 분석 랜딩페이지: https://kr.hotels.com/ 2. 랜딩페이지 분석단계 1단계 CTA - 검색 2단계 CTA - 앱 다운로드 3단계 CTA - 호텔스닷컴 둘러보기 4단계 설명 - 안심하고 즐기는 여행 5단계 ..
사용자 세분화(User Segmentation) 데이터의 필터 기능으로, 1차 데이터를 하위 기준으로 분류해서 보는 것을 의미 기기, 연령, 광고 채널, 등급 등으로 고객을 나누고 그들의 특징을 통해 그룹핑 하여 데이터를 분석 ‘우리 사용자는 누구인가?’에서 더 나아가, 앱 서비스의 충성고객, 구매 고객, 이탈 고객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비즈니스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세분화된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연령이나 성별 등에 따른 구매 패턴의 변화를 추측하고, 그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다. 행동 세분화 행동 세분화는 사용자가 고객 여정에서 취한 행동을 토대로 특정 잠재고객을 그룹으로 분류하는 작업입니다. 행동 프로파일이 유사한 사용자로 이루어진 그룹을 세그먼트 # 행동 세분화가 기업에..

프로덕트: 해피빈 프로덕트 선정이유: 오늘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해피빈이라는 프로덕트를 선정하고 싶었다. 학습을 하고 데일리과제를 본 순간 사실 이커머스 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훨씬 AARRR 기법에 맞게 분석하기에 용이할거라고 생각이 들었지만 쉽게 과제를 하고 싶지 않다는 반항심?과 해보고 싶은 프로덕트를 분석하는게 더 좋을것 같다고 생각하여 해피빈을 선정하였고, 해피빈은 기부 외에 펀딩 기능도 있지만 오늘 분석에서는 해피빈의 기부 서비스에 초점을 맞춰서 과제를 하려고한다. 해피빈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자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인 이름이고 행복한 콩이라는 뜻이다. 인터넷 기업이라는 특성에 맞는 네이버만의 사회공헌 방식이라 볼 수 있다. 각지에 산재되어 있는 복지단체들에게 해피빈을 통해 홍보를 할..

퍼널(Funnel) 퍼널(Funnel)은 '깔때기'를 의미하는 말로, 소비자가 우리 제품을 인지하고 구매하기까지의 과정을 깔때기에 빗댄 개념 뒤 단계로 갈수록 사람의 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입구는 넓지만 출구는 좁은 깔때기의 모양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퍼널 분석에서는 '제품의 노출' -> '유저의 유입' -> '제품 내에서의 행동' -> '최종 전환'까지의 행동을 지표로서 추적, 각 단계의 퍼널을 개선하고 전체적으로 완만한 깔때기를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 AARRR 다양한 퍼널 이론 중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AARRR 퍼널 AARRR 지표는 미국의 엑셀러레이터 500 STARTUPS의 설립자인 데이브 맥클루어(Dave McClure)가 개발한 분석 프레임워크 서비스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부족한 단계에 집..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 성장(growth) + 혁신, 성장을 의미하는 해킹(hacking)을 합친 말이다.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략을 설정하는 마케팅을 그로스 해킹 또는 그로스 마케팅이라고 부른다. 그로스 해킹 또는 그로스 마케팅은 고객의 취향을 파악하고, 더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접근해 저비용으로 최고의 광고 효용을 추구하는 마케팅 기법 선정 프로덕트: 테사(TESSA) 선정 이유 : 저번주 주말 불과 몇일전 우연히 SNS 광고를 통해 테사를 알게 되었고, 테사 랜딩페이지로 유입이 되어 회원가입까지 하게되었다. 회원가입을 하니 신규이벤트로 5000원 쿠폰도 받아서 바로 소액 투자 결제까지 하게되었고 그 이후로도 2번이나 거래하였다. 나도 그로스 해킹 당했었네 아트테크 앱 테사(TES..

선정 프로덕트: 호갱노노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와 시세를 지도에 한눈에 볼 수 있는 서비스로, 아파트의 모든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나는 호갱노노를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들어가 보는 앱 서비스 중 하나인데, 실제 거주민의 생생한 후기도 알 수 있고, 아파트 가격 변동이나 추세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어서 좋다. 1, 유저스토리 호갱노노의 유저는 맨 처음 호갱노노에 접속한다. 검색창에 원하는 지역(센트럴파크역)을 검색하면, 해당 지역 중심으로 아파트 매물을 대략적으로 한 눈에 볼 수 있다. 이때 유저가 원하는 아파트가 있다면 클릭하여, 아파트 상세페이지로 들어가게 되는데 상세페이지에서는 최근 시세흐름도와 거래내역을 세부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또 유저가 실제 거주민의 리뷰를 듣고 싶다면 이야기 ..

서비스의 UX / UI 개선 분석하기 앱, 혹은 웹 서비스 1개를 선택합니다. 해당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Flow에서 UX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서비스 이용자의 관점에서 정의 및 분석합니다. (Day 1에서 분석한 서비스여도 좋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화면(UI)을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해 페이퍼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봅니다. 개선점을 적용한 서비스 기획 산출물(1가지 선택)을 작성합니다. (이전에 프로토타입을 제작했다면, 해당 프로토타입을 분석한 '서비스 기획 산출물'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선정 프로덕트 : 프레딧 프레딧은 HY(한국 야구르트)에서 운영하는 종합 온라인 쇼핑몰이다. 직장인일때 매일 아침에 집에서 밥을 챙겨먹지 못하고, 출근길에 아침밥을 사는것도 어려워서 매일 아침 야구르트 정기배..

어떤 프로덕트를 분석할까 고민하던 와중에 쇼핑 앱 중에서 예전부터 꾸준히 즐겨 쓰는 위메프가 눈에 들어왔다. 위메프를 쓴지는 최소 7년? 인것 같은데 내가 지금까지 위메프를 꾸준하게 썼던 이유는 UX 경험이 좋아서 일거란 생각에 오늘은 위메프를 UX 심리학으로 파헤져 보려고 한다. Q 앱 서비스의 어떤 요소가 어떤 심리학 법칙과 연계되어 있는지를 제시해 주세요. 1. 제이콥의 법칙 제이콥의 법칙 사용자는 여러 사이트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그래서 여러분의 사이트도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다른 사이트들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길 원한다. 사용자는 기존에 학습된 익숙한 이미지와 구조로 사용하는것을 원하는데, 대부분의 쇼핑 앱이 구조적으로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단에는 검색창이 있고, 그 옆에는 장..